본문 바로가기

지혜

해외에서 보여주는 훌륭한 자녀 교육법 해외에서 보여주는 훌륭한 자녀 교육법 Unsplash | Daiga Ellaby 1. 책임감 길러주기 모든 부모는 자녀를 ‘반듯하게’ 키우고 싶어 한다. 위대한 인물이나 뛰어난 재주를 가진 인간이길 바라는 것도 좋지만, 그보다는 자신의 인생을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자세와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와 관련해 해외 부모들의 자녀 교육법을 알아본다. 1920년, 13살 난 미국의 한 소년이 이웃집 유리문을 걷어차서 유리가 깨졌다. 12.5달러를 변상해야 했다. 소년은 아버지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아버지, 유리값 낼 돈이 없습니다. 도와주세요. 돈을 빌려주시면, 1년 안에 갚을게요.” 아버지는 웃으면서 동의했고, 소년은 주말이나 공휴일이면 아르바이트를 해서 돈을 벌었다. 소년은 반년간 노력한 끝에.. 더보기
집착을 버리고 마음을 다스리는 ‘내려놓기 연습’ 집착을 버리고 마음을 다스리는 ‘내려놓기 연습’ Facebook | Leo Babauta Zen Habits 선종 육조 혜능 대사는 《금강경》의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도록 하라”는 구절을 보고 큰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혜능이 깨달음을 얻은 문장은 다음과 같은 의미라고 해석할 수 있다. 불가에서 ‘머묾’은 ‘집착’을 의미한다. 내 마음 밖의 어떤 대상에 마음을 두어 머문다는 것은 곧 그 대상에 집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혜능이 깨달은 금강경의 게송은 ‘대상에 집착하지 말고 마음을 내려라’는 뜻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모든 일이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다른 사람에게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강요하지도 말아야 한다. 그래야만 모든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더보기
과학자들이 말하는 ‘진정한 휴식’을 취하는 방법 과학자들이 말하는 ‘진정한 휴식’을 취하는 방법 Unsplash | Jordan Whitt 가장 좋은 휴식은 삶에 대한 열정을 되찾는 것이다. 휴식이란 과연 무엇일까? 휴식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바르게 쉬는 것일까?’ 이에 대한 과학자들의 생각을 들어본다. 휴식이란 무엇일까? 주말을 즐겁게 보내는 것일까? 멋진 여행지에서 즐기는 것일까? 그런데 휴식하면 할수록 피곤함을 느끼는 것은 왜일까? 어쩌면 우리는 휴식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 기사는 휴식의 ‘진정한 의미’와 ‘바르게 보내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11시간이나 잤는데 왜 이리 피곤한가? 휴양지에서 돈을 펑펑 쓰며 놀았는데 왜 삶에 대한 열정이 생기지 않는가? 사람들은 노래방이나 나이트클럽 또는 놀이공원에 .. 더보기
마음의 감옥 마음의 감옥 중국 속담 중에 ‘외면은 내면에 의해 형성된다(상유심생, 相由心生)’라는 말이 있다. 평소의 마음가짐에 따라 겉모습이 달라진다는 뜻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앙심을 품은 채 살아가는 사람은 깨끗한 본성을 더럽히는 자학행위를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타인에 대한 원한이 커지면 커질수록 자신 역시 고통을 겪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타인에게 베푸는 자비는 내면의 더러움을 정화시키고 자신을 고통으로부터 해방시킨다. 유년기에 겪었던 상처를 극복하고 내면의 아름다움을 되찾은 소녀의 이야기를 여기에 소개한다. 소녀는 매일 밤 악몽에 시달렸는데, 꿈속에는 많은 사람이 어두운 방에 갇혀 있었다. 문은 녹슨 사슬로 폐쇄돼 있어서, 그 안에 갇힌 사람들은 나가게 해달라고 소리쳤다. 소녀는 이 악몽에서 깨어날 때마다 .. 더보기
논쟁에서 벗어나기 -- 시야를 넓혀라 논쟁에서 벗어나기 -- 시야를 넓혀라 논쟁을 벌일 때는 태도를 바꿔 상대의 입장에서 바라보도록 하자. (Fotolia) 어떤 일을 놓고 실랑이를 벌이다가 해결이 나지 않을 때가 있다. 이럴 때 당신은 무엇을 위해 실랑이를 벌이게 된 것인지, 어떻게 마무리 지을 수 있을지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그저께 물건을 사러 슈퍼마켓에 갔다가 나는 서너 살 먹은 어린아이가 그 부모님과 실랑이를 하는 것을 보았다. 초콜릿 비스킷 한 상자를 놓고 싸우고 있는 것이었다. 아이는 아까 본 물건과 다르다고 하는데, 부모님은 똑같은 물건이라고 말하고 있었다. 물론 그 부모님은 결국 아이에 못 이긴 나머지 아이가 원하는 비스킷을 사 주었다. 내가 흥미를 느낀 것은 비스킷을 살지 여부가 아니라 그들이 실랑이를 벌이고 있는 문제,.. 더보기
농부의 딸이 왕비가 된 이유 농부의 딸이 왕비가 된 이유 (Anastasia Lin 제공) 옛말에 "자고로 아내는 현명함과 덕을 갖춰야 한다"라는 말이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현명하고 덕을 갖춘 여성이 가정을 평화롭고 자녀를 건강하게 키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이야기는 가난하지만 지혜를 갖춘 농부의 딸 이야기다. 그녀는 타고난 미덕과 지혜로 왕비가 될 수 있었다. 옛날 어느 나라에 국왕이 있었어. 그에게는 왕세자가 있었는데 현명한 왕세자비를 뽑기 위해 시험을 치루기로 했지. 시험 당일, 많은 대신과 부자들의 딸이 시험장에 나타났는데, 그중 한 명은 농부의 딸이었어. 국왕은 처음부터 난감한 문제를 내 그들을 곤혹스럽게 했어. "일출과 일몰 사이의 거리는 얼마나 되는가?" 그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라고 .. 더보기
원활한 고부관계 원한다면 ‘4가지’ 주의하라 원활한 고부관계 원한다면 ‘4가지’ 주의하라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관계에 따라 한 집안의 분위기가 전혀 달라질 수 있다. (ISTOCK) ‘고부관계’는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여성이라면 누구나 가장 걱정하는 문제다.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서로 화목하게 지내면 집안 전체가 화기애애하지만 두 사람이 서로 싫어할 경우 하루하루가 소란스럽다. 아래에서 제시할 4가지 생각법을 통해 시어머니와 며느리 모두 만족스럽고 행복한 고부관계를 만들어 보자. 1. 고부간 애정은 감사로부터 나온다 시어머니와 며느리는 원래 아무런 관계도 없던 사람들이지만, 같은 한 남자를 사랑한다는 이유로 서로 만나게 됐다. 이처럼 미묘한 관계는 서로를 한층 더 긴밀해지게도, 반대로 서로를 미워하게도 만들 수 있다. 관건은 당신의 ‘사랑’이 어.. 더보기
바구니에 갇힌 게와 거북이 이야기 바구니에 갇힌 게와 거북이 이야기 바구니 안에 놓인 게들은 밖으로 기어 나오려고 서로 끌어당기는 통에 한 마리도 밖으로 나오지 못하지만, 거북이들은 서로 도와 바구니 밖으로 나온다.(GETTY IMAGES) 전통 시장 노점에서 한 상인이 대나무 바구니 2개를 펼쳐놓고 있었는데, 바구니 하나에는 게가 들어 있었다. 바구니에 덮개가 없어 게들이 아등바등 바구니 밖으로 기어 나오려는 모습이 보였다. 그런데 게들은 서로 끌어당기는 통에 한 마리도 밖으로 못 나오고 있었다. 다른 한 바구니에는 덮개가 덮여 있었다. 상인이 호기심 가득한 얼굴로 보고 있는 손님에게 덮개를 열어줬다. 그 안에 있는 건 뭐였을까? 크고 작은 거북이였다. 상인은 손님에게 바구니의 덮개를 덮어놓은 이유를 설명했다: “제일 큰 거북이가 가장.. 더보기
‘한자’를 알면 인생이 보인다 ‘한자’를 알면 인생이 보인다 중국인들에게 주어진 가장 큰 선물인 한자는 독창적이고도 무척이나 흥미로운 변화와 발전의 역사를 지녔다. 한자는 글자에 담긴 오묘한 뜻과 함께 한자들의 구체적 구성을 이해한다면 인생의 새로운 깨달음을 얻게 될지도 모른다. 바쁠 망(忙): 일단 바빠지게 되면 마음(생각)을 잃게 된다 ‘망(忙)’이라는 글자는 ‘심(心)’과 ‘망(亡)’자가 합쳐져서 된 글자로서 사람이 일단 바빠지게 되면 ‘마음(心)’을 잃게 된다는 의미다. 분주하게 서둘러서 길을 가는 사람은 별다른 ‘마음(생각)’이 없는 사람인 경우가 많다. 바쁜 도중에 실수나 말썽이 생기게 되는 것은 바쁘기 때문이고 바쁘면 ‘마음(생각)’을 잃게 되기 때문이다. ‘마음’없이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은 실수를 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 더보기
‘재물’을 돌려준 ‘장효기’ ‘재물’을 돌려준 ‘장효기’ Unsplash | Alexandre Valdivia & Gushixuexi 사진, NTD 편집 고대의 한자에는 다양한 의미가 담겨 있다. 재물 ‘재(財)’는 조개 ‘패(貝)’와 재주 ‘재(才)’를 합친 글자로 패(貝)는 고대 원시적 형태의 화폐로써 물건과 교환할 수 있었으며, 재(才)는 도덕성, 자질, 재능 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빛나는 조개에 미덕이나 정신이 담겨야 진정한 재물(財物)이 되는 것이다. 옛말에 이르기를, 군자가 재물을 아끼는 데도 도(道)가 있다고 했는데, 도는 도덕적 의미를 포함한 것이다. 장효기가 장인에게 받은 재물을 돌려준 이야기를 소개한다. 장효기는 송나라 때 학자로, 성인이 되어 그의 재능을 높이 산, 마을 부호의 딸과 혼인을 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