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럴수가

'전자결제와 안면인식 결합' 첨단기술에 가려진 중공의 대국민 감시

'전자결제와 안면인식 결합' 첨단기술에 가려진 중공의 대국민 감시


     베이징의 한 상점에 알리페이 결제가 가능하다는 안내 문구가 붙어있다. (사진=AFP PHOTO / WANG ZHAO)




최근 대만에서는 ‘중국이 전자결제 서비스에 안면인식을 접목해 기술이 진보했다’는 식의 엉뚱한 오해가 흘러나오고 있다. 중화대학교의 쩡젠위안(曾建元) 행정관리학과 부교수는 “중국인은 전자결제 서비스가 편리하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이용자의 재산‧은행자료‧결제 데이터 등 개인정보가 고스란히 중국공산당(이하 중공)의 손에 들어가고 있다”면서 “자신이 감시를 당하고 있음을 모른 채 편리함을 누리면서 엄청난 대가를 치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담강대학교(淡江大學) 종합전략과학기술센터 쑤쯔윈(蘇紫雲) 센터장은 “대만은 중국의 선진화된 결제시스템만 보고 있지만 중공은 전자결제와 안면인식, 홍채인식 등을 융합해 생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면서 "중국인의 저항과 경각심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경제라는 포장지를 써서 대중 감시 시스템을 은폐한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한 마트에서 할머니가 스마트폰으로 전자결제를 하고 있다. (사진=Getty Images)

쑤 센터장은 “안면인식, 홍채인식, 지문인식 등의 기술은 다른 국가에도 있는 것"이라면서 "대만‧미국‧일본의 IT기술은 절대 중공에 뒤지지 않는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차이라면 자유민주국가에서는 공권력과 사생활 간에 분명한 선이 있고 관련 문제를 신중히 처리한다는 것"이라며 "만약 대만 세관에서 지문인식을 실시한다면 사회적 논란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중국과 큰 차이를 보이는 또 다른 국가는 일본이다. 일본의 IT기술은 세계가 공인하는 수준이지만 신용카드 사용률은 최하위에 머무르고 있다. 게다가 신용카드와 전자상거래 결제시스템 사용률도 16%로 낮은 편이다. 현금사용을 선호하고 사생활을 중시해 전자 소비기록을 남기길 원치 않기 때문이다.


 

일본인은 현금 사용을 선호해 신용카드와 전자상거래 결제시스템 사용률이 16%에 불과하다. (사진=AFP)

쑤 센터장은 “빅데이터 시스템이 결제시스템을 통해 이용자의 홍채와 안면 인식 정보 등 바이오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하는 것은 디지털윤리와 관련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빅데이터 시스템은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다뤄져야 하지만 중공에는 이러한 디지털윤리의 개념조차 없다"면서 "이런 시스템은 중국인에게 큰 위협"이라고 주장했다.


쑤 센터장에 따르면 홍채인식과 DNA데이터 외에도 음성인식을 통해 거리에 설치된 감시 시스템과 마이크의 기능을 결합해 감시범위를 넓힐 수 있다. 현재 중공의 감시율은 93%에 달한다. 만약 대상의 얼굴이 가려졌거나 화면에 얼굴이 많아 특정 대상을 인식하기 어렵다면 음성인식이 보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식 정확도는 99.8%로 높아진다. 중공은 이런 방법으로 중국인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할 수 있다.


중국은 개인의 행동을 감시하기 위해 거리 곳곳에 안면 인식 CCTV를 설치했다. (사진=Getty Images)

미국의 한 통계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는 약 1억 7600만 대의 감시카메라가 운용되고 있다. 쑤 센터장은 “중국의 사회안정 유지비용이 국방비 예산보다 높은 것을 보면 1억 대는 최소한의 개수일 뿐 향후 인구변화를 감안한다면 감시카메라 수는 약 4억 대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감시 시스템은 테러 예방용으로 런던에서 최초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안면인식과 음성인식은 테러 용의자의 생체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 쓰일 뿐 대개는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쑤 센터장은 "이렇듯 자유국가에서 절대 허용하지 않는 것을 중공은 아무렇지 않게 인민의 개인정보 수집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출처: http://www.epoch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5157